메인 콘텐츠

기간종료<2023 스스로 해결단 챌린지> 제주 버스정류장 버스정보안내기(BIT) UI 디자인 개선안

가이드

by  ○ 상 ○

<2023 스스로 해결단 챌린지> 제주 버스정류장 버스정보안내기(BIT) UI 디자인 개선안

19
100

공감투표기간 : 2023-08-10 ~ 2023-09-09

※ 제안등록일로부터 30일 이내, 100표 도달 후 해결방안을 등록하면 공감투표로 진행됩니다.

 

 제안의 시작 (문제정의)

1.제주에 살면서 느낀 불편한 점_버스정보안내기(BIT)

 

 

KakaoTalk_Photo_2023-08-10-14-06-48 003.jpeg

 

(버스정보안내기 사진)

 


  제주도는 특히 독특한 지리적 요인 때문에 ‘이동(Mobility)’에 있어서 상당한 제약을 받습니다. 한편, 제주도는 세대당 보유차량 전국 최

 

고수준입니다. 이는 도보나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보다 차량이 훨씬 더 큰 편리함을 주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말하면, 대중교통을 이용할

 

때 일상에서 느끼는 크고 작은 불편한 점이 많습니다.

 

 

 

자차보다는 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학생의 시선에서 생각해봤을 때, 다음과 같은 불편함이 있었습니다.

 

# 버스 배차 간격이 크다.  # 일부 버스 노선이 빙빙 돌아간다.  # 버스정보안내기(BIT) 화면이 휙휙 넘어가서 원하는 정보를 바로 얻기 힘들다.

 

 

 

(사례)

학생 : 버스 정류장에 설치되어 있는 버스정보안내기(BIT)에서 원하는 정보를 더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버스 도착 노선 안내 화면이 빨리 넘어가서 노선 정보가 많은 경우 첫 페이지를 놓치면 잠시 기다렸다가 다시 보아야 해요.

 


학생 : 버스정보안내기(BIT)에 많은 정보(도착 버스 노선 정보 및 노선검색, 주변검색, 버스시간표검색 기능)들이 있지만, 도착 버스 노선을 눌렀을 때 이러한 정

 

보가 종합적으로 나타나 시각적으로 한눈에 들어오면 좋겠어요.

 


어르신: 디지털 안내시스템을 조작할 줄 모르는 상황에서 버스노선도나 시간표조차 없으니 다른 사람들에게 물어보고 버스를 타란 겁니까. 옛날보다 더 불편해요.

 


* 현재 도착 버스 노선 정보 터치 시 나오는 화면 (버스정류장 명칭만 기재되어 있음.)

KakaoTalk_Photo_2023-08-10-14-06-48 002.jpeg

 

 

 

이와 같은 예시는 대중교통 이용 시 학생들이 겪는 어려움만을 나타내는 것이 아닙니다. 대중교통 이용이 서툰 어린이나 버스정보안내기 및 모바일어플리케이션 이용이 쉽지 않은 어르신 등 버스를 이용하는 제주도민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상황들입니다.

 

 

 

 2. 문제의 중요성

 

제주도의 버스정보시스템은 실시간으로 버스의 도착 정보를 제공하여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버스 도착 시간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스마트폰으로 편리하게 버스 도착 시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물론, 현재 제주버스정보시스템은 버스정류장에 설치된 버스정보안내기(BIT)를 비롯하여 LED 행선지 표지판과 승객용안내기, ‘제주버스정보’ 어플이 있으며, 타 시·도에 비해 정보제공 수준이 높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하지만, 개선된 버스정보시스템에도 불구하고 버스정보안내기(BIT) 이용자들이 겪는 불편함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버스정류장에 버스노

 

선도나 버스시간표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버스정보안내기(BIT)를 통해서 정보를 얻어야 합니다. 이에, 버스정보안내기(BIT)는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할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해야 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제안하고자 합니다.

 


(1) 버스 도착 노선 안내 화면에 페이지 이동 버튼▶ 추가

 

(2) 해당 버스 도착 노선 터치시, 하단에 카카오맵 화면(실시간 버스 이동) 삽입하여 동시에 확인

 


(1)-1: 페이지 버튼 삽입을 통해, 화면이 넘어가더라도 이용자가 원하는 페이지를 직접 선택 가능

(2)-1: 기존(실시간 버스 이동을 버스정류장 명칭 정보로만 파악 가능)화면에 카카오맵 화면을 삽입하여 지리적 정보와 함께 직관적인 버스 이동 정보 확인 가능

버스정류장 명칭만으로는 버스의 위치를 명확히 이해할 수 없었으나, 카카오맵 화면을 통해 버스의 이동 정보 및 노선 전체 확인 가능

 

 

 

-실시간 버스 이동 화면을 볼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는?  '제주 초정밀 버스위치정보 서비스' 입니다.

*2019년 제주도, 전국 최초 ‘초정밀 버스 위치 정보’ 서비스 제공 실시

(제주도-카카오맵 민관협력 프로젝트)

카카오맵을 활용한 ‘초정밀 버스 안내 서비스’는 위성항법시스템(GNSS)을 이용해 10cm 단위의 버스 위치 정보를 초 단위로 갱신해 보여줍니다.

 

사진: 카카오

KakaoTalk_Photo_2023-08-10-14-06-47 001.jpeg

 

 

 

 

 

 

3. 제안 아이디어 요약

 

# 버스정보안내기(BIT) UI 개선

                 

 


   ⬇️

 


 # 정보 접근성 강화를 통한 제주도민 대중교통 편리성 제고

 


(1) 버스 도착 노선 안내 화면에 페이지 이동 버튼▶ 추가

(2) 해당 버스 도착 노선 터치시, 하단에 카카오맵 화면(실시간 버스 이동) 동시에 확인

                                             

    ➕

 

 

 

  #대중교통 이용자 만족도 기여 및 제주도민 의견 수렴을 통한 문제 해결 가능

 

 

 

< 구현 화면 예시 >

 ex) 311번 노선 터치 시 ▶️ 해당 버스 노선 카카오맵 화면 제공

 

KakaoTalk_Photo_2023-08-10-14-07-01 003.png

 

 


 4. 제안 기대효과

 

- 버스정보안내기(BIT) UI 개선을 통한 제주도민 대중교통 편리성 제고

 

 

 

- 직관적이고 쉬운 정보 제공을 통한 정보 접근성 강화

 


원래는 이용자들이 자신의 스마트폰으로만 실시간 버스 위치의 정보를 알 수 있었다면,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의 UI를 개선함으로써, 이제 버스 정류장의 단말기만으로 정보를 손쉽게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를 통해 이용자들은 현재 위치에서 버스의 원활한 접근이 가능해지며, 정보 확인에 대한 어려움이 크게 줄어들 것입니다.

 

 

 

- 제주도민의 의견 수렴 및 역량 강화

 


실제 불편을 겪은 도민들의 의견 수렴을 통해 개발된 시스템은 지속적인 업데이트와 개선을 통해 이용자들의 최적의 버스 도착 정보 안내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최적화된 버스 도착 안내 시스템은 제주도민뿐만 아니라 관광객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대중교통 이용 확산을 통한 교통 문제 완화에 기여

 

 

 

- 문제를 해결하며, 계속해서 발전해나가는 제주버스정보시스템

 


제주도의 교통 혼잡 문제는 최근 도민들 사이에서도 가장 큰 이슈중 하나로 손꼽힙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에서는 대중교통 이용을 권고해왔지만, 정작 대중교통 이용의 불편함을 느끼고 자가용을 사용하는 사람이 많았습니다. 23년도 기준 월 자가용 등록댓수가 약 2000대씩 증가했을 정도로 도민들이 얼마나 자가용의 의존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 따라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버스 도착 정보 시스템을 개선함으로써 대중교통의 접근성을 향상시킨다면 교통 체증 해결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대됩니다.

또한, 제주도의 버스 정보 시스템은 이용자의 편의에 기여하며 수준 높은 정보를 제공합니다. 이에 현재 제주도민들이 경험하는 문제점을 개선함으로써, 제주도의 우수 사례를 기반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이러한 기술의 적용, 확산이 이루어져 좋은 영향력을 나눌 수 있을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댓글 (2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 달기 가능합니다.

  • 곽태원 ○ 태 ○
    정말 멋진 아이디어입니다. 주제 선정이 참으로 탁월하시네요. 한 수 배워갑니다.

    2023-08-10

  • 박지원 ○ 지 ○
    정류장에 설치된 버스정보안내기가 터치가 지원되지 않는다면, 막대한 예산이 투입되어야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2023-08-17

바로가기 배너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테크노파크
  • 제주대학교 링크사업단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도시재생지원센터
  • 제주시소통협력센터
  • 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 제주 더큰내일센터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