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

프로젝트완료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정보접근성 개선 프로젝트

가이드

by  ○ y ○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정보접근성 개선 프로젝트

523
500

공감투표 500 표 달성되어 프로젝트화에 도전합니다.

 

 

공감투표기간 : 2021-08-03 ~ 2021-10-02

 제안의 시작

○ 제주 사회 다문화 사회 가속화
제주 지역 인구동태 통계 기준(2018년)
혼인 신고한 다문화 부부는 443쌍으로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 12%로
전국 지자체 중에 가장 높은 편

○ 전체 학생 중 다문화 가정 자녀 비율 가파르게 상승 중
초중고 재학 중인 다문화 학생 수(2018년 기준) 1,706명
2015년 대비 82% 증가한 수치
그 중 초등학생 82.7%로 다수 차지
향후 중고등학생 비율이 대폭 증가 전망

○ 다문화학생의 높은 학업 중단율
다문화 자녀 100명 중 1명 학업 중단
내국인 학업 중단률 비교시, 4.5배 차이
언어 교육과 더불어 부모와 자녀간 소통 부재로 인한 문제
다문화 가정 엄마 자녀 교육 관심과 열의에도 불구
자녀 양육에 대한 정보, 지지와 이해 받을 곳 충분하지 않아
자녀 양육의 주체로 자리 매김 한계

 주요제안(문제정의)

○ 제주 사회 다문화 사회 가속화
제주 지역 인구동태 통계 기준(2018년)
혼인 신고한 다문화 부부는 443쌍으로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 12%로
전국 지자체 중에 가장 높은 편

○ 전체 학생 중 다문화 가정 자녀 비율 가파르게 상승 중
초중고 재학 중인 다문화 학생 수(2018년 기준) 1,706명
2015년 대비 82% 증가한 수치
그 중 초등학생 82.7%로 다수 차지
향후 중고등학생 비율이 대폭 증가 전망

○ 다문화학생의 높은 학업 중단율
다문화 자녀 100명 중 1명 학업 중단
내국인 학업 중단률 비교시, 4.5배 차이
언어 교육과 더불어 부모와 자녀간 소통 부재로 인한 문제
다문화 가정 엄마 자녀 교육 관심과 열의에도 불구
자녀 양육에 대한 정보, 지지와 이해 받을 곳 충분하지 않아
자녀 양육의 주체로 자리 매김 한계

 

  • 다문화 가정 엄마에게 교육(학업,진로,과외활동 등) 정보를 알 수 있는 창구 필요 
- 다문화 가정 인터뷰 중 -
“한국말을 잘 못해서 자녀 교육과 관련한 정보를 어디서 구해야 할지, 한국 친구도 없어서 물어볼 곳이 마땅치 않아요.”
“학교 서류를 이해할 수 없을 때가 많은데 남편에게만 의존해야 해서 답답해요.”

    •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은 모든 엄마의 공통 사항, 다문화 가정 엄마도 자녀 교육에 관심이 높은편, 질 좋은 교육 원함
    • 엄마가 자녀의 진로와 교육에 대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창구가 필요



  • 한국말을 잘 모르는 엄마에게 알림장, 통신문 등 자녀의 학교 생활 알림 방안 필요

- 다문화 가정 인터뷰 중 -
“학교에서 오는 알림장을 읽고 준비물이나 학교 과제를 잘 챙겼으면 좋겠는데 한국말을 잘 모르고,
한국의 교육 제도를 잘 몰라서 이해되지 않을때가 많아요. 우리 아이가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엄마로서 알아야 할 정보를
제대로 알 수 있다면 좋겠어요.”



  • 상시적 정보 확인이 가능한, 다문화 가정 맞춤 번역 데이터 구축 필요

-다문화 가정 인터뷰 중 -
"처음 온라인 수업 알림장을 받고, 어떤 수업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학교에 컴퓨터를 주는지 물어 봤어요."

    • 가정 통신문 번역 지원, 상시적이지 않아 제 때 전달 한계
    • 다문화 자녀 도심 외 지역 학교에 주로 분포, 물리적인 서비스 지원 한계
    • 한국 문화 맥락적 이해 낮아, 다문화 가정에 맞춘 쉬운 단어와 부가 설명 필요
    • 학교 알림장 앱 ‘자동 번역 보기’서비스, 번역 오류 많아 정확성 제고 필요
    • 다문화 가정에 맞춰 교육 정보의 충분한 번역 데이터 확보 필요

 해결방안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다문화교육센터 X 기획자, 개발자, 분석가?X 다문화 가정 X 학교

관계자들의 협업을 통해 한국어에 서툰 다문화가정 부모가 쉽고 빠르게

학교 교육정보(알림장, 가정통신문 등)를 번역해 볼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겠습니다.


  • 문제 해결의 시작, 현황 파악 !


    • 지역 내 다문화 국가 비중 :우선 개발 언어 고려 사항
베트남 중국 필리핀 기타 총합
861 629 433 693 2,616
33% 24% 17% 26%

100%


    • 학교 내 알림장 이용 현황 : 문서 포멧 매우 다양, 디지털 가정통신문의 학부모 전달력 낮음
구분 현황 서비스 기획 고려사항
학교 알림장 현황

(전체 공지 가정통신문)

홈페이지, e-알리미, Iamschool 등

업무 담당자 일괄 공지

PDF, HWP,JPG 등 다양한 형태 문서 사용

(학년별, 학급별 알림장)

클리스팅, 아이스크림, 하이클래스, 카카오톡, 밴드 등 다양한 어플을 활용

숙제는 수업중 안내, 학생이 알림장에 직접 기입 유도함

중요한 사항은 담임이 문자 혹은 어플 알림장을 통해 공식 안내

 

    • 다문화 번역 필요 수준
- 기본적으로 전교생 대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높은 읍,면 학교에서 가정 통신문의 번역 서비스의 욕구가 큼
- 전교생 수가 많은 시내권은 다문화 학생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으나 절대 수는 읍면보다 많은 경우 발생
- 한국어를 전혀 모른 상태로? 중도 입국하는 다문화 가정 학생과 부모 비중이 늘어나는 추세


  • 구체적인 해결 방안, 추진 계획

    • 기획 단계 : 언어 역량에 따른 알림장의 이해 수준 확인을 통해 사업 범위 구체화
① 학교 알림장 매뉴얼 및 알림장 샘플 취합 (공지 유형 파악)
② 다문화 가정 부모의 언어 역량에 따른 알림장 이해 및 정보 해석 수준 확인
③ 알림장 사용(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측면)에 따른 어려움 파악
④ 표준 환경 및 프로세스 정의
- 목표 사용자 (다문화 학부모 해당 언어 및 언어 역량 수준) 구체화
- 알림장(행사, 가정통신문, 신청서, 숙제 및 준비물 등) 서비스 제공 범위 구체화
- 알림장 번역 서비스 제공 템플릿 기획
⑤ 협업 체계 구축
- 학교와 부모, 학생 간의 정보 불균형에 대한 각 사용자별 어려움을 이해하고 협업
- 해결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지역사회 내 ‘다문화 가정 교육정보 접근성 개선’의 추진 거버넌스 구축
- 다문화학생 비중이 높은 초등학교 : 알림장 정보 수집 및 사후 테스트 대상 학교
- 이중언어 번역 전문가 : 난이도를 고려한 단어 선별 및 번역, 번역 감수 지원

    • 서비스 개발 단계 : 사용자 중심 맞춤 언어 번역 서비스 툴 개발
① DB 구축
- 알림장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단어 추출
- 한국어 언어 역량에 따른 “알림장” 단어 이해도 확인
- 쉬운 한국어 번역 및 외국어 번역
- 정확도 검수 및 테스트
② 프로그램 개발
- 화면 설계 및 웹디자인
- 프로그램 설계 및 개발
- 관리자 페이지 구성 : 알림장 템플릿, 번역 추천 다국어(단어) 관리
- 사용자 페이지 구성 : 템플릿 선택 기능, 알림장 내용 입력 기능, 단어 추천, 미리보기, 페이지 생성 기능
③ 성능 및 통합 테스트

    • 최종 테스트 및 운영 : 우선 도입 학교 타진을 통한 점진적 서비스 도입
① 다문화 가정 대상 최종 테스트 및 설명회 개최
② 서비스가 시급한 학교 순위를 결정해 순차적 도입
③ 사용자(다문화 부모)의 지속적인 사용성 피드백을 통한 정확도 개선
④ 다문화 지역민을 위한 한국어 번역 말꾸러미 DB 구축 및 데이터 공개


  • 기대효과

    • 언어와 문화 차이로 교육 정보를 충분히 인지하지 못해 교육 서비스 신청을 놓치거나 수업 교구를 준비하지 못하는 등의 자녀 학교 생활 지원에 어려움을 겪는 다문화가정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생소한 교육 용어를 알기 쉽게 전달함으로써 학교 생활 적응을 지원
    • 다양한 형태의 문서 양식으로 전달되는 학교 알림장 및 가정 통신문을 다문화 부모 편에서 쉽게 이중언어로 번역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 편리성 증진
    • 교사와 학부모 소통의 이해도를 증진시키고, 학교 생활의 인지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댓글 (5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 달기 가능합니다.

  • 서영웅 ○ 영 ○
    좋은 취지에 공감합니다

    2021-09-01

  • 유종욱 ○ 종 ○
    함께라는 의식이 구체화된 훌륭한 프로젝트네요~ 응원합니다!!!

    2021-08-31

  • 이수연 ○ 수 ○
    공감합니다

    2022-10-31

  • 최철호 ○ 철 ○
    공감합니다.

    2022-09-07

  • 강해옥 ○ 해 ○
    다문화사회의 단면도 알게되었네요. 응원합니다

    2022-05-26

  • 김혜원 ○ 혜 ○
    공감합니다

    2021-11-30

  • 이현명 ○ 현 ○
    공감합니다

    2021-11-26

  • 홍산 ○ 산
    공감완료

    2021-09-30

  • 최명주 ○ 명 ○
    공감완료

    2021-09-19

  • 문정신 ○ 정 ○
    공감합니다

    2021-09-08

  • ock (오디) ○ c ○ ○ ○ ○ ○ ○
    공감~공감~꾸욱~^

    2021-09-08

  • 유경훈엘리사벳 ○ 경 ○ ○ ○ ○ ○
    공감 꾸욱

    2021-09-08

  • 오미경 ○ 미 ○
    공감합니다~~

    2021-09-08

  • 김민석 ○ 민 ○
    공감합니다~!

    2021-09-08

  • 허윤정 ○ 윤 ○
    "프로젝트 추진" 응원합니다

    2021-09-08

  • 한재희 ○ 재 ○
    완전 공감요

    2021-09-08

  • 원용조 ○ 용 ○
    공감합니다.

    2021-09-08

  • 한경희 ○ 경 ○
    응원합니다

    2021-09-08

  • 박문숙 ○ 문 ○
    공감합니다~

    2021-09-08

  • 송정옥 ○ 정 ○
    공감합니다~~

    2021-09-08

  • 박숙경 ○ 숙 ○
    꼭 필요한 일이네요

    2021-09-08

  • 현철수 ○ 철 ○
    응원합니다

    2021-09-08

  • 장옥주 ○ 옥 ○
    응원합니다

    2021-09-08

  • 박서형 ○ 서 ○
    응원합니다

    2021-09-08

  • 박천화 ○ 천 ○
    공감합니다~

    2021-09-08

  • 김수미 ○ 수 ○
    공감합니다!!!

    2021-09-07

  • 산체 ○ 체
    공감합니다!

    2021-09-07

  • 김진용 ○ 진 ○
    공감합니다.

    2021-09-07

  • 이영준 ○ 영 ○
    공감합니다

    2021-09-07

  • 조은숙 ○ 은 ○
    공감합니다

    2021-09-07

  • 이기연 ○ 기 ○
    공감합니다

    2021-09-07

  • 베니아 ○ 니 ○
    공감해요

    2021-09-07

  • 이우방 ○ 우 ○
    공감합니다

    2021-09-07

  • 유송자 ○ 송 ○
    충분히 공감합니다.

    2021-09-07

  • 김상수 ○ 상 ○
    공감합니다

    2021-09-07

  • Wookyung LEE ○ o ○ ○ ○ ○ ○ ○ ○ ○ ○ ○
    휼륭한 계획 입니다

    2021-09-07

  • 허연심 ○ 연 ○
    다같이 잘 되는 일입니다!

    2021-09-07

  • 난풀 ○ 풀
    어우렁더우렁 공감해요

    2021-09-06

  • hmhahaha ○ m ○ ○ ○ ○ ○ ○
    선진제주

    2021-09-06

  • 허재진 ○ 재 ○
    제주도에서 '다문화'라는 말이 없어질때까지 화이팅입니다~!

    2021-09-06

  • 이흥철 ○ 흥 ○
    공감합니다.

    2021-09-06

  • 늘그곳에 ○ 그 ○ ○
    공감합니다

    2021-09-06

  • 김정인 ○ 정 ○
    공감합니다

    2021-09-06

  • 임성현 ○ 성 ○
    공감합니다

    2021-09-06

  • 이선심 ○ 선 ○
    공감해요^^

    2021-09-06

  • 김진우 ○ 진 ○
    공감합니다

    2021-09-06

  • 신성짱 ○ 성 ○
    공감합니다

    2021-09-06

  • 영철 ○ 철
    공감합니다

    2021-09-06

  • 박지연 ○ 지 ○
    파이팅입니다!!!

    2021-09-06

  • 김규범 ○ 규 ○
    공감합니다

    2021-09-04

  • 박은희 ○ 은 ○
    다문화가정 자녀와 부모를위한 구체적도움방안 좋아요~~~

    2021-09-04

  • sungnyang(성기정) ○ u ○ ○ ○ ○ ○ ○ ○ ○ ○ ○ ○ ○
    공감합니다~

    2021-09-04

  • 김새봄 ○ 새 ○
    공감합니다^^

    2021-09-04

  • ACE_우창승 ○ C ○ ○ ○ ○ ○
    좋은 발전 기대합니다~

    2021-09-04

  • 김민희 ○ 민 ○
    공감합니다:-)

    2021-09-01

  • 김종하 ○ 종 ○
    쾌복님 홍보했는데,
    좋은 프로그램에 공감~^^

    2021-09-01

  • 박찬식 ○ 찬 ○
    다문화 가정이 증가하는 있는 현실에서 꼭 필요한 프로젝트라고 생각됩니다.

    2021-09-01

바로가기 배너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테크노파크
  • 제주대학교 링크사업단
  • 제주창조경제혁신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도시재생지원센터
  • 제주시소통협력센터
  • 제주사회적경제지원센터
  • 제주 더큰내일센터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