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 ○
y
○
메인 콘텐츠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정보접근성 개선 프로젝트
100
공감투표기간 : 2021-07-13 ~ 2021-09-11
※ 제안등록일로부터 30일 이내, 100표 도달 후 해결방안을 등록하면 공감투표로 진행됩니다.
제안의 시작 (문제정의)
○ 제주 사회 다문화 사회 가속화제주 지역 인구동태 통계 기준(2018년)
혼인 신고한 다문화 부부는 443쌍으로
전체 혼인 중 다문화 혼인이 차지하는 비중 12%로
전국 지자체 중에 가장 높은 편
○ 전체 학생 중 다문화 가정 자녀 비율 가파르게 상승 중
초중고 재학 중인 다문화 학생 수(2018년 기준) 1,706명
2015년 대비 82% 증가한 수치
그 중 초등학생 82.7%로 다수 차지
향후 중고등학생 비율이 대폭 증가 전망
○ 다문화학생의 높은 학업 중단율
다문화 자녀 100명 중 1명 학업 중단
내국인 학업 중단률 비교시, 4.5배 차이
언어 교육과 더불어 부모와 자녀간 소통 부재로 인한 문제
다문화 가정 엄마 자녀 교육 관심과 열의에도 불구
자녀 양육에 대한 정보, 지지와 이해 받을 곳 충분하지 않아
자녀 양육의 주체로 자리 매김 한계
- 다문화 가정 엄마에게 교육(학업,진로,과외활동 등) 정보를 알 수 있는 창구 필요
- 다문화 가정 인터뷰 중 -
“한국말을 잘 못해서 자녀 교육과 관련한 정보를 어디서 구해야 할지, 한국 친구도 없어서 물어볼 곳이 마땅치 않아요.”
“학교 서류를 이해할 수 없을 때가 많은데 남편에게만 의존해야 해서 답답해요.”
-
- 자녀 교육에 대한 관심은 모든 엄마의 공통 사항, 다문화 가정 엄마도 자녀 교육에 관심이 높은편, 질 좋은 교육 원함
- 엄마가 자녀의 진로와 교육에 대한 정보를 쉽고 정확하게 찾을 수 있는 창구가 필요
- 한국말을 잘 모르는 엄마에게 알림장, 통신문 등 자녀의 학교 생활 알림 방안 필요
- 다문화 가정 인터뷰 중 -
“학교에서 오는 알림장을 읽고 준비물이나 학교 과제를 잘 챙겼으면 좋겠는데 한국말을 잘 모르고,
한국의 교육 제도를 잘 몰라서 이해되지 않을때가 많아요. 우리 아이가 학교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엄마로서 알아야 할 정보를
제대로 알 수 있다면 좋겠어요.”
- 상시적 정보 확인이 가능한, 다문화 가정 맞춤 번역 데이터 구축 필요
-다문화 가정 인터뷰 중 -
"처음 온라인 수업 알림장을 받고, 어떤 수업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아서 학교에 컴퓨터를 주는지 물어 봤어요."
-
- 가정 통신문 번역 지원, 상시적이지 않아 제 때 전달 한계
- 다문화 자녀 도심 외 지역 학교에 주로 분포, 물리적인 서비스 지원 한계
- 한국 문화 맥락적 이해 낮아, 다문화 가정에 맞춘 쉬운 단어와 부가 설명 필요
- 학교 알림장 앱 ‘자동 번역 보기’서비스, 번역 오류 많아 정확성 제고 필요
- 다문화 가정에 맞춰 교육 정보의 충분한 번역 데이터 확보 필요
댓글 (17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 달기 가능합니다.
공감합니다
2021-07-27
공감합니다
2021-07-27
공감합니다
2021-07-26
공감합니다
2021-07-26
공감합니다 다문화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꼭 필요한 일이죠
2021-07-26
공감합니다
2021-07-26
공감합니다.
2021-07-26
작지만 누군가에게는 큰 도움이 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2021-07-24
공감합니다
2021-07-19
공감합니다
2021-07-19
공감합니다
2021-07-19
공감합니다.
2021-07-18
공감합니다
2021-07-18
공감합니다
2021-07-18
정말 꼭 필요한 제안입니다!
2021-07-16
공감합니다~
2021-07-15
좋은 제안이네요
2021-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