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콘텐츠
제주어, 여러분은 알고 계신가요?
공감투표기간 : 2023-06-18 ~ 2023-07-18
※ 제안등록일로부터 30일 이내, 100표 도달 후 해결방안을 등록하면 공감투표로 진행됩니다.
제안의 시작 (문제정의)
안녕하세요, 현재 제주도에 거주하며 제주여자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8살 학생입니다.
제주도를 생각하면 여러분은 무엇이 생각이 나시나요? 힌라봉? 푸르른 바다? 여러 생각들이 떠오르실텐데 제주도를 생각하면 제주도만의 언어인 제주어가 떠오를 수 있습니다. 제주어는 제주도의 고유의 문화유산입니다. 제주어는 제주도만의 전통적 문화이며 세계화되어가고 있는 사회에서 우리 문화의 고유성과 다른 문화의 차별성을 함양할 수 있습니다.
몇 년 전, 제주어가 소멸 위기 언어에 등재되었습니다. 이것은 제주어가 사라질 심각한 상황에 놓여있다는 뜻입니다. 요즈음 주변에 제주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기록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아 제주도에 사는 사람들조차도 제주어가 친숙하지 않은 것이 사실이기는 합니다. 이러한 젋은 세대들의 제주어에 대한 무관심과는 상반되게 노인분들의 많은 제주어 사용 빈도로 인한 게대 격차와 의사소통의 문제점 또한 공존하고 있습니다. 제주어가 최근 사용 빈도가 줄고, 사용하기를 거리껴 하는 이유는 사투리를 사용하는 것이 올바른 언어 사용이 아니라는 교육이 지속화되고 정형화되면서 제주어 사용에 대해 좋지 않은 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이렇듯이 시대가 변하면서 우리 고유의 문화유산인 사투리를 살리려는 노력 또한 이어지고 있음을 알아주시기를 바랍니다. 현재 고등학생들이 얼마나 제주어에 관심을 가지고 제주어를 알고 있는지 실태를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제주여자고등학교 학생들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자신이 제주어에 대해 관심을 너느 정도 가지고 있다고 답한 학생이 57.1%로 높은 비율을 차지한 반면, '도르멍 옵서'(빨리 오세요)와 같은 일상생활 속의 간단한 문장의 뜻을 물어보는 질문에서 16.7%의 낮은 정답률이 나왔습니다. 또한 평소 제주어로 대화를 하는 것의 이해도에 대해 물은 질문에서 '잘 이해한다'가 35.7% '보통이다'가 33.3%, '잘 이해하지 못한다'가 21.4%의 비슷한 비율을 차지한 것으로 보아 제주도에 거주하는 고등학생들인 만큼 자신이 제주어에 대해 어느 정도 관심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하지만, 실제 일상생활의 간단한 언어나 타인과의 의사소통 부분에선 다소 부족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현재 제주여자고등학교에서는 수리공의 제안 활동이라는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제주여자고등학교 6명이 제주어가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지, 제주어가 얼마나 심각한 위기 속에 처해있는지에 관한 현황의 심각성을 알리고 현재 제주어가 사라지고 있는 상황에 대한 사람들의 제주어에 대한 무관심을 해결하고 제주어에 대한 사람들의 의식을 고취하기 위하여 활동을 진행해보고자 합니다.
저희는 제주어 거리를 구축해보면 어떨까 싶습니다. 제주어 거리에 위치한 가게에 제주도 방언을 간판으로 하면 제주도 방언 홍보 효과와 제주도 방언에 대해 친근해질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관광객들과 제주도민 둘 다 좋아할만한 제주도 지역 음식점을 중심으로 하여 거리를 구성해보고 싶습니다.
위 그림은 저희 6명이 제주어 거리를 생각해보면서 그린 그림입니다.
해결 방안을 쓸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면 제주어 거리에 대해 더 자세히 설명하고 싶습니다.
다시 말해 저희 6명은 제주어를 다른 사람들에게 알릴 수 있기 위해 제주어 거리 구축이라는 방안을 제시하며 해결방안을 쓸 수 있는 기회가 온다면 제주어 거리 구축에 대해 저 자세히 설명하고 싶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주여자고등학교 2학년 강지연 외 5명 올림
댓글 (1 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로그인 후 댓글 달기 가능합니다.
저 역시 제주어의 문화적 가치를 귀중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굉장히 좋은 제안을 주신 것 같습니다.
좀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많은 관심이 모였으면 좋겠네요.
2023-06-19